it 썸네일형 리스트형 삼성 휘어지는(flexible) 디스플레이 전망 1st Story 세계 3위의 혁신 기업 선정의 힘 플렉시블 스마트폰 컴퍼니제이왈: 지난주 애플이 중국에서 안 팔리는 이유에 대해서 나누어 보았습니다. 이번주에는 삼성의 혁신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Flexible display에 대해서 2차례에 걸쳐서 그 가능성과 내용에 대해서 나누어 보겠습니다. 모두들 이번 한주도 행복하게 그리고 힘차게 컴퍼니제이와 보내시죠!!^^2013 CES를 삼성은 플렉시블 스마트폰을 공개했다. 그리고 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및 스마트폰은 탄성을 자아내기에 충분한 이슈였다. 물론 OLED TV가 심한 화두가 되면서 LG와 삼성간의 OLED TV 선점 및 선 출시에 대한 전쟁이 치열해 지고 있는 가운데서 아직 상용화 가능성을 보여 주지 않은 플렉시블 스마트폰은 다소 관심에서 밀렸다는 느낌도 지울 수 .. 더보기 스마트폰에서 부품으로 이어지는 양극화 현상 스마트폰에서 부품으로 이어지는 양극화 현상컴퍼니제이 왈: 이전에 삼성 애플이 시장을 지배 할 수 있는 이유로 글을 올린 적이 있습니다. 이번에는 그 양극화 현상이 스마트폰 부품에서도 나타나는 듯 합니다. 오늘은 그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항상 주장하는 것은 양극화는 소비자 관점에서 봤을 때 두가지의 선택밖에 없다는 것으로 그렇게 방가울만한 이야기는 아닌 듯 합니다. 그럼 일주일의 마지막 같은 금요일 컴퍼니제이 글 시작 하겠습니다.2012년 한 해 동안 계속 지속되었던 가장 중요한 화두는 Samsung – Apple의 양강대결 구도였다. 2013년도에는 개인적으로 이러한 양강구도를 넘어서 새로운 삼국지가 열렸으면 하는 바램이 크다. 그런데 이러한 Company J의 개인적인 바램과는 상관없이 양극화 현.. 더보기 애플이 중국에서 안 팔리는 이유 2nd Story 애플이 중국에서 안 팔리는 이유 2 컴퍼니제이 왈: '애플이 중국에서 안 팔리는 이유 1st story'에 이어서 오늘 그 2부를 올립니다. 한주의 중간까지 왔는데 다들 힘내시고요!! 애플이 중국에서 안되는 이유를 같이 들여다 보기로 하겠습니다. 다음주에는 삼성의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Flexible Display에 대한 시리즈를 연재하겠습니다...^^애플이 중국에서 안 팔리는 이유를 지난번에 Unicom의 요금제를 통해서 분석을 해 보았다. 오늘은 추가적인 정보를 찾아서 2차 분석을 해보고자 한다. 애플은 현재 심각한 위기의 상황이라고 봐도 될 만큼 갑자기 주문 수량이나 판매 수량이 급감하고 있다. 현재까지 시장에 나와 있는 Report나 기사들은 모두 Q4의 이야기들이 많음으로 실제 소비자들은 아직까.. 더보기 ComSocre로 본 미국의 스마트폰 시장 삼성과 안드로이드는 미국을 계속 커질것가장 최근의 comScore 자료 수치는 우리가 2012년에 익숙해진 트렌드가 사실임을 보여준다 : 삼성과 구글이 주도적인 위치에 있으며, 애플이 꾸준히 강력하다는 것이다. 시장에서는 두 마리 말이 계속 경주 하는 상황에서, 안드로이드와 iOS는 스마트폰 시장에서 88.7% 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고, RIM 의 블랙베리 OS 는 3개월 간 1포인트 떨어진 7.3% 로 급락하는 추세이고,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 폰 OS는 3% 로 떨어졌다.총 핸드폰 기계 측면으로는 (저가 핸드폰과 스마트폰 모두 포함한 값), 애플은 LG를 넘어서서 미국 모바일 OEM 시장에서 두번째로 큰 회사가 되었다. 2012년 8월부터 9월까지 애플의 1.4 포인트 성장율로 다른 탑 브랜드들 보다.. 더보기 애플이 중국에서 잘 안 팔리는 이유 1st Story 애플이 중국에서 잘 안 팔리는 이유 컴퍼니제이 왈: 다시 월요일이 왔습니다. 이번주도 즐거운 한주가 되시길 바라며 이번주에는 '애플이 중국에서 잘 안 팔리는 이유' 1부, 2부로 나누어서 글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한주도 즐겁게 컴퍼니제이와 함께 하시겠습니다. 그럼 '애플이 중국에서 잘 알 안 팔리는 이유 1st Story' 시작하겠습니다.예전에 iPhone의 13년 보급형 출시를 점치면서 중국 시장이 Apple에게 얼마나 중요한지를 설명한 적이 있다. Apple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중국 시장이 엄청 중요한 시장이다. 그 Subscriber의 숫자만 해도 10억이 넘고, 한번 폭발적인 숫자로 팔리기 시작하면 분기에 몇 천만대를 팔 수 있는 곳이 바로 중국이다. 그런데 최근에 중국에서 Appl.. 더보기 FHD 전쟁의 시작 FHD 전쟁의 시작 2013 CES를 통해서 올해 초의 화두 중에 하나가 정해졌다. FHD가 본격화 된다는 것이다. 올해 초에 이미 FHD 모델을 출시한 HTC를 제외하고 모든 업체들이 FHD를 출시할 예정이다. 심지어는 중국의 업체들도 LCD TFT로 FHD 모델을 출시하려고 하고 있다. 이제 실력적으로도 많이 추격을 해온 느낌이다. 2013년 최대의 화두가 될 FHD 대전을 각 Player별로 FHD에 대한 생각을 추측해 보려고 한다. FHD까지 이렇게 단기간에 발전해 오는 걸 보면서 그래도 아직은 기술이 지배하는 시장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 측면에서 근면과 성실로 제품을 쏟아내는 한국산 제품이 유리하다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아마도 2013년은 삼성과 LG의 또 다른 한 해가 되지 않을까 싶다... 더보기 Google-Samsung(Tizen) 새로운 전쟁의 시작 Google-Samsung(Tizen) 새로운 전쟁의 시작 우리가 지금까지 이야기한 2013년 Trend 중에 중요한 미래 중에 하나로 생각 했던 것이 바로 누가 삼성-Apple의 양강 구도를 깨고 새로운 제3의 세력이 되느냐? 하는 점이었다. LG가 될지, Nokia가 다시 살아날지 이에 대한 참 많은 추측과 의견들이 난무하고 있고 있다. 결국은 미래를 정확히 예측한다는 것이 가장 시장을 잘 보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므로 가장 중요한 요소일지 모른다. Company J는 이에 대해서 조금 다른 시각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바로 Google의 힘의 증대이다. 2012년 Q3를 기준으로 드디어 Google의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이 70%를 넘어섰다. 그리고 그 힘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App의 숫자는 이.. 더보기 이제 Siri의 Apple을 넘는 Google Now의 시대 이제 Siri의 Apple을 넘어 Google의 시대가 온다. 첫 iPhone 4S에서 Siri가 이슈가 되던 때의 떨림을 잊을 수 없다. ‘아 드디어 스마트폰이 사람과 대화를 하기 시작했구나’ 를 느낄 수 있었던 순간이었다. 하지만, 이상하게도 그 이후 음성인식이 획기적인 발전을 이루었다는 느낌을 받기 어렵다. 오히려 Apple은 Siri의 발전에 집중하기 보다는 또 색다른 S/W를 iPhone에다가 넣기 위해서 동분서주 하고 있는 듯한 느낌이다. 그러는 사이에 Google의 Jelly-Bean부터 Google Now라는 서비스가 들어가기 시작했다. Google Now가 어떤 Service인지 사용자 후기의 Review를 통해서 좀 더 접근해 보고자 한다. 최근 Google Now의 사용자의 후기를 들.. 더보기 LG전자의 AP는 성공할 수 있을까? LG전자의 AP는 성공할 수 있을까? LG전자의 반도체 인력이 최근 600명까지 증가하고 있다. 연초 200명 대비 약 300%의 성장을 보이고 있다. 드디어 LG전자가 Optimus 시리즈에 자신감을 얻어서 스마트폰의 핵심이 무엇이고 스마트폰에서 성공하려면 무엇을 잡아야 하는지 알아 가고 있는 것 같다. 이제 Reference Phone인 Nexus 시리즈를 통해서 Android OS와의 최적화는 최상으로 만들어 냈다. 하지만 아직도 인기 있다 하면서도 Galaxy 시리즈만큼 터지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제 그 답을 AP에서 찾고 있는 것 같다. 그리고 그 선택은 틀리지 않았다고 본다. LG가 TSMC부터 시작해서 최고의 Foundry 업체를 찾고 있다. 그리고 올해 초 CEShow에서 드디어 Bi.. 더보기 CEShow 2013 관전 포인트 2. Tablet CEShow 2013 관전 포인트 2. Tablet이번에는 간략하게 Tablet의 Trend에 대해서 살펴 보고자 한다. 이제 Tablet도 초기 단계를 넘어서 성숙단계의 초기로 접어들고 있다고 생각이 된다. 스마트폰 시장과는 별도로 Tablet 시장의 장악도 이제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N-Screen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Tablet을 잡아야 한다. Home에서는 Tablet이 리모콘으로 Control Tower의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CES에서 올해 주목해서 봐야 할 Tablet 시장의 3대 Key Factor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고자 한다. 1. O/S의 3파전 이제 Tablet O/S 시장도 본격적인 3파전이 예상된다. 사실 2012년에 히트를 예상했던 Wind.. 더보기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 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