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e이 Samsung에 본격적으로 소송을 시작한지 거의 2년이 다 되어 간다. 배심원들을 통하여 Samsung에 아주 불리한 평결이 나올 때쯤부터 컴퍼니제이는 블로그에 [Apple vS. Samsung 특허 소송 분석] 이란 제목으로 그 의미와 세부 내용 등을 올려서 정리를 시작 했던 것 같다.
컴퍼니제이 이번에 한 IT 특허 관련 전문가 분을 만나 Apple과 Samsung의 특허 전쟁에 대해서 심도 있는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다. 그 내용을 잘 요약하여 독자들에게 이 IT 세계가 얼마나 치열한지를 조금이나마 전달해 보고 싶다.
휴대폰 세계는 항상 그 헤게모니의 주인이 바뀌어 왔다. 맨 처음 휴대폰이 나왔을 때 제조사에게 있었던 그 중심은 향 후 Service 등이 첨가 되면서 Carrier 들에게 넘어 왔다. 그리고 그 중심이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OS 업체에게 한동안 넘어가 있었다. 그 OS 업체 중 가장 선두를 질주 하고 있는 Google은 현실적으로 제조사들의 권위를 많이 인정해 주지 않는다. 아래의 그래프 1에서도 볼 수 있듯 Apple의 심장부인 미국에서도 Android는 50%가 넘는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Apple이 왜 그렇게 민감하게 Samsung에게 소송을 걸며, Steve Jobs가 전 재산을 다 털어서 라도 Google을 부수어 버리고 싶다라고 한 표현이 이해가 되는 그래프 이다.
< 그래프 1 >
<Source : Nielsen>
애플 CEO 고 스티브 잡스 와 구글 CEO 에릭 슈미트
이번에도 각 플레이어 별로 특허에 따른 이해 관계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Apple Apple은 2008년 처음으로 HTC에게 자신들의 디자인 및 UI의 기능을 쓴 혐의로 HTC를 제소했다. 그리고 2009년 Motorola 마지막으로 2010년에 Samsung의 Galaxy S를 제소하면서 제조사 중의 대왕 격인 삼성과의 전쟁에 첫 포문을 연다. 특허 전문가들의 입장을 들어보니 Apple이 제조사들을 단체로 소송을 거는 이유는 Android의 멸망이나 제조사들의 멸망처럼 좀 어려워 보이는 목적이 아니고 아주 간단하게 제조사와 Android OS를 이간질 시키는 것이 목적이라고 보고 있다. 즉 제조사에게 ‘Android는 꼭 안전한 OS가 아니다.’ ‘다른 OS를 쓰거나 니들 자체 OS를 만들어서 써봐라’하는 의미가 담겨 있다. 아주 간단한 하면서도 확실한 전략이다.
Google Google은 Android로 돈을 벌지 않는다. 그래서 Apple의 소송의 대상에서 제외가 된다. 근데 재미 있는 것은 Google이 Apple에게 공격 당하고 있는 Samsung, HTC 등 제조사의 편을 들어주지 않고 오히려 방관하거나 큰 반응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Apple의 전략대로 이간질 작전에 말려 들고 있다고 생각한다. Google이 큰 반격이나 반응을 보여주지 않으니 제조사 입장에서는 Android가 믿음직스럽지 못할 수 밖에 없다.
Samsung Samsung이야 말로 Google의 절대적인 지원을 기다렸을 것이다. 하지만 큰 지원 없이 혼자서 대적을 상대하다가 결국은 LTE까지 꺼내어 들고 전면전을 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번 특허 전을 계기로 Tizen, Bada OS, Window Phone OS를 버릴 수 없게 되었다. 아마도 자체 OS 및 S/W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며 스마트폰의 수준을 또 한 단계 상승 시킬 계기가 될 것으로 본다.
M/S Microsoft는 그 틈을 이용해서 Android에 소송을 걸었다. 그리고 HTC, Samsung은 현재 스마트폰 한대당 약 $5~10을 로열티를 지불하고 있다. 참 대단한 작전이 아닐 수 없다. 향 후 Window Phone OS를 무시만 할 수 없는 이유 중에 하나이다. OS 원천 기술의 최강자는 다름 아닌 M/S이기 때문이다.
Nokia 지금 이번 소송을 보면서 Window Phone OS를 선택한 자신들의 선택이 그리 나쁘지 않았다고 생각 하면서 웃고 있다. 더불어 이번에 Window Phone을 채용한 HTC의 스마트폰을 자신들의 디자인을 이용했다며 소송을 걸었다. 어떻게 보면 이번 Apple vs Samsung의 싸움에 가장 큰 수혜자가 아닐 까 생각한다.
최근 삼성의 이건희 회장이 홍콩의 재벌 리카싱 회장을 만나고 일본에서 일주일을 장고를 한 끝에 한국에 돌아오는 날 각종 메스컴에서 삼성의 iPhone 5에 대한 반격을 대서 특필 했다. LTE 및 원천특허 등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iPhone 5에 공세를 가하기로 결정 한 듯 하다. 현재 삼성의 보유 특허는 Apple의 10배가 넘는다. 특허의 숫자 만으로 싸움의 승패가 결정 되는 것은 아니지만, 삼성이 하겠다고 맘 먹은 순간 그 공격력은 지금의 몇 배가 될 것임에 분명하다.
1. 삼성의 대대적인 반격으로 Apple이 피해를 입을지 Android와 제조사 간의 이간질은 먹힌 것인지?
2. 스스로를 가장 수혜자라 믿고 있는 Microsoft와 Nokia의 Windows Phone 8은 시장에서 돌풍을 일으킬 수 있을지?
3. 또 그렇다면 다른 제조사 들도 Windows Phone 8을 적극적으로 채용 할지?
여러 가지 이슈들이 맞물려서 돌아가고 있다.
Blog : companyjit.tistory.com
Twitter : @companyj1231
E-mail : companyj1231@gmail.com
'Smart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패드 미니 이후 New 특허 Flexible display - (부제: Apple 정정 당당한 승부를 원한다.) (6) | 2012.10.25 |
---|---|
복수의 칼날 LG 스마트폰 (부제: LG 반격의 시작? Optimus G & NEXUS4) (2) | 2012.10.22 |
독이든 성배 애플 iPhone (부제: Apple 아이폰을 잡은 Foxconn/Sharp & 통신업체들) (0) | 2012.10.16 |
카카오톡 그 Business Model의 진화 (부제: Kakotalk은 앞으로 어떻게 돈을 벌까?/카카오톡 수입구조 분석) (7) | 2012.10.08 |
iPhone5 Bull Whip(채찍) Effect_부제:애플 보급형폰을 만들 것인가?/iPhone 5 수량 Fluctuation(변동)의 부작용 (0) | 2012.09.30 |
Retina Display(애플) vS OLED(삼성) 디스플레이 분석 (부제: Apple과 Samsung의 Display 대전) (2) | 2012.09.26 |
삼성과 애플이 시장을 지배할 수 있는 이유는? - 부제: 휴대폰 업체들의 수익률 (5) | 2012.09.18 |
iPhone 5 흥행에 중요한 변수 LTE - 부제 : 애플은 4G LTE와 함께 할 것 인가? (2) | 2012.09.09 |